전기 그랜드 피아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기 그랜드 피아노는 1920년대 후반부터 개발이 시도되어 1939년 RCA 스토리톤을 시작으로 상용화되었다. 1970년대 야마하, 가와이, 헬핀스틸 등에서 본격적으로 생산되었으나, 1980년대 디지털 피아노의 등장으로 인해 생산이 중단되었다. 주요 모델로는 헬핀스틸의 Roadmaster, 카와이의 EP 시리즈, 야마하의 CP 시리즈 등이 있으며, 킨의 팀 라이스-옥슬리, 빌리 조엘,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 등 많은 음악가들이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 악기 - 일렉 기타
일렉트릭 기타는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앰프를 통해 소리를 내는 기타로, 픽업과 앰프, 이펙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음색과 음량, 다채로운 소리 표현이 가능하며, 20세기 초부터 개발되어 펜더와 깁슨 등의 브랜드로 대중화되었다. - 전기 악기 - 전기 피아노
전기 피아노는 물리적 진동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네오 베히슈타인과 로즈 피아노 같은 모델이 있으며 디지털 신디사이저 발전 이후 생산은 줄었지만 고유의 음색으로 꾸준히 수요가 있다. - 피아노 - 디지털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는 전자 기술로 피아노 소리를 재현하는 건반 악기로, PCM 음원 방식으로 어쿠스틱 피아노 소리를 샘플링하여 사용하며, MIDI 연결, 볼륨 조절, 헤드폰 출력 등의 기능과 휴대성, 소음 감소, 정확한 음정 유지의 장점을 가지나, 수리 및 수명에서 단점도 존재하며, 다양한 형태와 제조사가 있다. - 피아노 - 피아노 조율사
피아노 조율사는 피아노의 음높이를 조정하고 부품을 수리 및 조정하여 최상의 연주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자로, 피아노 발명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국가별로 양성 과정과 자격 제도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전기 그랜드 피아노 | |
---|---|
전기 그랜드 피아노 | |
![]() | |
분류 | 전기 피아노 |
종류 | 피아노 |
역사 | |
개발 | 1970년대 |
발명가 | 불명 |
특징 | |
작동 원리 | 전자 증폭을 통한 소리 생성 |
음색 | 어쿠스틱 피아노와 유사하지만, 독특한 전자 악기 음색을 지님 |
주요 제조사 | 야마하 롤랜드 코르그 |
주요 모델 | 야마하 CP-70 야마하 CP-80 |
사용 음악가 | 피터 가브리엘 유리치 키스 에머슨 토토 보니 엠 반젤리스 |
장점 | |
휴대성 |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동이 용이함 |
음량 조절 | 전자 장치를 통해 음량 조절 가능 |
다양한 음색 | 이펙터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음색 연출 가능 |
유지보수 | 조율 등의 유지보수 필요성이 적음 |
단점 | |
음색 |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의 풍부하고 자연스러운 울림을 완전히 재현하기는 어려움 |
전원 | 작동을 위해 전원 공급이 필요함 |
관련 용어 | |
미디 (MIDI) | 미디 (MIDI)를 통한 외부 장비 연결 및 제어 가능 |
신디사이저 | 신디사이저와 유사한 음색 연출 가능 |
2. 역사
전기 그랜드 피아노 제작은 1920년대 후반 네오-베히슈타인의 실험적인 시도로 시작되었다.[12][13] 1939년 RCA에서 최초의 상용 모델인 스토리톤(Storytone)을 출시했다. 초기 모델은 사운드보드 대신 픽업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해머 스트링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했다.
1970년대에는 야마하 CP-70, CP-80 시리즈를 필두로 가와이, 헬핀스틸(Helpinstill) 등에서 본격적으로 상용화된 전기 그랜드 피아노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현과 해머를 사용했지만, 실제 피아노가 아닌 전기 피아노는 금속을 치는 소리를 냈다.
1980년대에 디지털 피아노의 등장으로 전기 그랜드 피아노의 인기는 점차 감소하여 생산이 중단되었다. 그러나 전기 그랜드 피아노 고유의 음색은 일반 MIDI 음색에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까지도 일부 악기 제조사들은 야마하 CP-70/80의 음색을 라이선스하여 사용하고 있다.
2. 1. 대한민국에서의 전기 그랜드 피아노
1980년대,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을 비롯한 당대 최고의 밴드들이 야마하 CP 시리즈를 연주하면서 대한민국 대중들에게 전기 그랜드 피아노의 존재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밴드 음악이 전성기를 누리면서, 전기 그랜드 피아노는 밴드 음악의 상징적인 악기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1987년, KBS 2TV에서 방영된 젊음의 행진에서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의 기타리스트 겸 작곡가인 유상윤이 CP-80으로 "미지의 세계"를 연주하는 모습이 전파를 타면서 대중적 인지도가 크게 상승했다.3. 주요 모델
다음은 주요 전기 그랜드 피아노 모델이다.
- 헬핀스틸 (Helpinstill): 로드마스터 64, 로드마스터 88, 포터블 그랜드 모델을 생산했다.
- 가와이: EP-608, EP-705M, EP-308, EP-308M 모델을 생산했다.
- 야마하: 1970년대 중반부터 CP 시리즈 전기 그랜드 피아노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주요 모델로는 CP-60M, CP-70, CP-70B, CP-70D, CP-70M, CP-80, CP-80B, CP-80D, CP-80M, E201/E-202, E-501/E-502 등이 있다. 킨의 팀 라이스-옥슬리는 야마하 CP-70을 주로 사용했으며, 톰 채플린은 언더 더 아이언 씨 앨범 활동 당시 야마하 CP-60을 사용했다.

3. 1. 헬핀스틸 (Helpinstill)
모델명 | 건반 수 | 형태 |
---|---|---|
로드마스터 64 | 64 | 업라이트 |
로드마스터 88 | 88 | 업라이트 |
포터블 그랜드 | 88 | 그랜드 |
3. 2. 카와이 (Kawai)
3. 3. 야마하 (Yamaha)
야마하는 1970년대 중반부터 CP 시리즈 전기 그랜드 피아노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CP 시리즈는 다양한 모델로 출시되었는데, 주요 모델은 다음과 같다.모델명 | 건반 수 | 형태 | 특징 | MIDI 출력 |
---|---|---|---|---|
CP-60M | 76 | 업라이트 | O | |
CP-70 | 73 | 그랜드 | X | |
CP-70B | 73 | 그랜드 | CP-70 개량형, 밸런스 출력 등 | X |
CP-70D | 73 | 그랜드 | CP-70B와 유사, 7밴드 그래픽 이퀄라이저 | X |
CP-70M | 73 | 그랜드 | CP-70D와 유사 | O |
CP-80 | 88 | 그랜드 | 밸런스 출력 | X |
CP-80B | 88 | 그랜드 | CP-80 개량형 | X |
CP-80D | 88 | 그랜드 | CP-80B와 유사, 7밴드 그래픽 이퀄라이저 | X |
CP-80M | 88 | 그랜드 | CP-80D와 유사 | O |
E201/E-202 | 76 | 업라이트 | 앰프 및 스피커 내장 | X |
E-501/E-502 | 88 | 업라이트 | 앰프 및 스피커 3개 내장 | X |
킨은 야마하 CP-70을 사용하며, 밴드 멤버 팀 라이스-옥슬리의 주요 악기이다.[6] 리드 싱어 톰 채플린은 밴드의 ''언더 더 아이언 씨'' 시대 동안 CP-70의 소형 수직형 변종인 야마하 CP-60도 사용했다.
4. 주요 사용자
킨의 팀 라이스-옥슬리는 야마하 CP-70을 주요 악기로 사용한다.[6] 제네시스의 토니 뱅크스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밴드 및 솔로 활동에서 야마하 CP-70을 사용했다. 빌리 조엘은 "My Life", "올 포 레나" 등 다수의 곡에서 야마하 CP 시리즈를 사용했다.
참조
[1]
학술지
Das Radio-Klavier von Bechstein-Siemens-Nernst
[2]
학술지
Der Bechstein-Siemens-Nernst-Flügel
1990-04
[3]
웹사이트
Music Engineers. The Remarkable Career of Winston E. Knock, Electronic Organ Designer and NASA Chief of Electronics
http://www.ieee.org/[...]
[4]
학술지
Oskar Vierling, ein Wegbereiter der Elektroakustik für den Musikinstrumentenbau
[5]
뉴스
Off The Stand Jive.
Down Beat
1939-09
[6]
서적
Learn to Play Keyboards
Chartwell Books
[7]
웹사이트
Tell Me If You Still Care
https://www.youtube.[...]
okayplayer and YouTube via Anastasia Sytnikova
2019-01-24
[8]
학술지
Das Radio-Klavier von Bechstein-Siemens-Nernst
[9]
학술지
Der Bechstein-Siemens-Nernst-Flügel
1990-04
[10]
웹사이트
Music Engineers. The Remarkable Career of Winston E. Knock, Electronic Organ Designer and NASA Chief of Electronics
http://www.ieee.org/[...]
2018-09-03
[11]
학술지
Oskar Vierling, ein Wegbereiter der Elektroakustik für den Musikinstrumentenbau
[12]
저널
[13]
저널
[14]
웹인용
http://www.ieee.org/[...]
[15]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